장정우님이 지음, [스프링부트 핵심가이드 :: 스프링 부트를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실무] 책을 읽고 정리한 필기입니다.📢
스프링 부트에서의 유효성 검사
지금부터 애플리케이션에 유효성 검사 기능을 추가하겠다. 기본 프로젝트 뼈대는 7장에서 사용한 패키지와 클래스 구조를 그대로 가져와 만들겠다.
프로젝트 생성
이번 장에서 사용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겠다. 스프링 부트 버전은 이전과 같은 2.5.6 버전으로 지정하고, 아래와 같은 내용들을 설정한다.
- groupId : com.springboot
- artifactId : valid_exception
- name : valid_exception
- Developer Tools : Lombok, Spring Configuration Processor
- Web : Spring Web
- SQL : Spring Data JPA, MariaDB Driver
그리고 7장에서 다음과 같이 자바 파일을 가져와 기본적인 프로젝트를 생성한다. 그리고 5장에서 다룬 것처럼 SwaggerConfiguration
클래스 파일을 생성하고 관련 의존성을 pom.xml
에 추가한다.
스프링 부트용 유효성 검사 관련 의존성 추가
원래 스프링 부트의 유효성 검사 기능은 spring-boot-starter-web에 포함돼 있었다. 하지만 스프링 부트 2.3 버전 이후로 별도의 라이브러리로 제공하고 있다. 아래와 같이 pom.xml
파일에 유효성 검사 라이브러리를 의존성으로 추가하면 사용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dependencies>
...생략...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validation</artifactId>
</dependency>
...생략...
</dependencies>
스프링 부트의 유효성 검사
유효성 검사는 각 계층으로 데이터가 넘어오는 시점에 해당 데이터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다. 스프링 부트 프로젝트에서는 계층 간 데이터 전송에 대체로 DTO 객체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래 그림과 같이 유효성 검사를 DTO 객체를 대상으로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번 장의 실습을 위한 DTO와 컨트롤러를 생성하겠다. 먼저 ValidRequestDto
라는 이름의 DTO 객체를 아래와 같이 생성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ToString
@Builder
public class ValidRequestDto {
@NotBlank
String name;
@Email
String email;
@Pattern(regexp = "01(?:0|1|[6-9])[.-]?(\\d{3}|\\d{4})[.-]?(\\d{4})$")
String phoneNumber;
@Min(value = 20) @Max(value = 40)
int age;
@Size(min = 0, max = 40)
String description;
@Positive
int count;
@AssertTrue
boolean booleanCheck;
}
예제를 보면 각 필드에 어노테이션이 선언된 것을 볼 수 있다. 각 어노테이션은 유효성 검사를 위한 조건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대표적인 어노테이션은 다음과 같다.
문자열 검증
@Null
: null 값만 허용한다.@NotNull
: null을 허용하지 않는다. “”, “ “는 허용한다.@NotEmpty
: null, ““을 허용하지 않는다. “ “는 허용한다.@NotBlank
: null, “”, “ “을 허용하지 않는다.
최댓값 / 최솟값 검증
BigDecimal
,BigInteger
,int
,long
등의 타입을 지원한다.@DemicalMax(value = "$numberString")
:$numberString
보다 작은 값을 허용한다.@DemicalMin(value = "$numberString")
:$numberString
보다 큰 값을 허용한다.@Min(value = $number)
:$number
이상의 값을 허용한다.@Max(value = $number)
:$number
이하의 값을 허용한다.
값의 범위 검증
BigDecimal
,BigInteger
,int
,long
등의 타입을 지원한다.@Positive
: 양수를 허용한다.@PositiveOrZero
: 0을 포함한 양수를 허용한다.@Nagative
: 음수를 허용한다.@NagetiveOrZero
: 0을 포함한 음수를 허용한다.
시간에 대한 검증
Date
,LocalDate
,LocalDateTime
등의 타입을 지원한다.@Future
: 현재보다 미래의 날짜를 허용한다.@FutureOrPresent
: 현재를 포함한 미래의 날짜를 허용한다.@Past
: 현재보다 과거의 날짜를 허용한다.@PastOrPresent
: 현재를 포함한 과거의 날짜를 허용한다.
이메일 검증
@Email
: 이메일 형식을 검사한다. ““는 허용한다.
자릿수 범위 검증
BigDecimal
,BigInteger
,int
,long
등의 타입을 지원한다.@Digits(integer = $number1, fraction = $number2)
:$number1
의 정수 자릿수와$number2
의 소수 자릿수를 허용한다.
Boolean 검증
@AssertTrue
:true
인지 체크한다.null
값은 체크하지 않는다.@AssertFalse
:false
인지 체크한다.null
값은 체크하지 않는다.
문자열 길이 검증
@Size(min = $number1, max = $number2)
:$number1
이상$number2
이하의 범위를 허용한다.
정규식 검증
@Pattern(regexp = "$expression")
: 정규식을 검사한다 정규식은 자바의java.util.regex.Pattern
패키지의 컨벤션을 따른다.
유효성 검사에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은 인텔리제이 IDEA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화면 우측의 [Bean Validation] 탭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목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인텔리제이 IDEA에서는 자동으로 우측에 [Bean Validation] 탭을 추가하는 기능이 있는데, 만약 화면에서 이를 확인할 수 없다면 메뉴에서 [New] → [Tool Windows] → [Bean Validation]을 차례로 선택해 탭을 추가할 수 있다.
💡 Tip.
실습에서 사용한 스프링 부트 2.5.6 버전은 Hibernate Validater 6.2.0.Final 버전을 사용하고 있다. 이 버전은 Jakarta Bean Validation 2.0의 스펙을 따르고 있으며, 관련 내용은 다음 URL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앞에서 생성한 DTO를 사용하는 컨트롤러 객체를 생성하겠다. 아래와 같이 ValidationController
를 생성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alidation")
public class ValidationController {
private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ValidationController.class);
@PostMapping("/valid")
public ResponseEntity<String> checkValidationByValid(
@Valid @RequestBody ValidRequestDto validRequestDto) {
LOGGER.info(validRequestDto.toString());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validRequestDto.toString());
}
}
예제에서 checkValidationByValid()
메서드는 ValidRequestDto
객체를 RequestBody
값으로 받고 있다. 이 경우 9번 줄과 같이 @Valid
어노테이션을 지정해야 DTO 객체에 대해 유효성 검사를 수행한다.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해 Swagger 페이지에 접속한다. 위의 checkValidationByValid()
메서드를 호출하기 위해 각 값을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1
2
3
4
5
6
7
8
9
{
"age": 30,
"booleanCheck": true,
"count": 1,
"description": "Validation 실습 데이터입니다.",
"email": "flature@wikibooks.co.kr",
"name": "Flature",
"phoneNumber": "010-1234-5678"
}
위의 값은 위에서 설정한 유효성 검사를 통과할 수 있는 값들이다. 먼저 age
는 @Min(value=20)
, @Max(value=40)
으로 값이 20살 이상, 40살 이하인 데이터만 받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booleanCheck
는 @AssertTrue
를 통해 값이 true
인지 체크한다. count
에는 @positive
가 설정돼 있으므로 0이 아닌 양수가 값으로 들어오는지 체크한다. description
은 @Size
를 통해 문자열의 길이를 제한했다. @Email
어노테이션을 설정한 email
필드에서는 값에 ‘@
’ 문자가 있는지 확인한다.(실습에서는 이 정도로만 설정하지만 실무에서는 도메인을 검사하거나 비정상적인 이메일인지 검토하는 추가 설정이 필요할 수 있다.) name
은 @NotBlank
로 null
값이나 “”, “ “ 모두 허용하지 않게 설정해서 값을 의무적으로 받도록 설정했다. phoneNumber
는 @Pattern
을 통해 정규식을 설정했다. regexp
속성의 값을 "01(?:0|1|[6-9])[.-]?(\\d{3}|\\d{4})[.-]?(\\d{4})$"
로 설정하면서 휴대전화 형식인지 검증할 수 있다.
위 그림처럼 Swagger에서 애플리케이션을 호출하면 별 문제없이 ‘200 OK’로 응갑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번에는 앞에서 설정한 규칙에 벗어나는 값으로 변경해 호출해보겠다. age
를 -1로 설정하고 호출하면 아래와 같이 400 에러가 발생한다.
다음과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로그에 로그가 출력되어 문제가 발생한 지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 별도의 예외 처리를 하지 않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했을 때 클라이언트는 어디에서 에러가 발생했는지 확인할 수가 없다.
1
[Field error in object 'validRequestDto' on field 'age': rejected value [-1]; codes [Min.validRequestDto.age,Min.age,Min.int,Min]; arguments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MessageSourceResolvable: codes [validRequestDto.age,age]; arguments []; default message [age],20]; default message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
2개 이상의 유효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검사를 실패한 개수를 로그에 포함시킨다. 이번에는 count
의 값도 -1로 설정해서 유효성 검사를 실패하게 했다.
1
with 2 errors: [Field error in object 'validRequestDto' on field 'count': rejected value [-1]; codes [Positive.validRequestDto.count,Positive.count,Positive.int,Positive]; arguments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MessageSourceResolvable: codes [validRequestDto.count,count]; arguments []; default message [count]]; default message [0보다 커야 합니다]] [Field error in object 'validRequestDto' on field 'age': rejected value [-1]; codes [Min.validRequestDto.age,Min.age,Min.int,Min]; arguments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MessageSourceResolvable: codes [validRequestDto.age,age]; arguments []; default message [age],20]; default message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
출력 결과를 보며 ‘with 2 errors’라는 표현으로 두 요소에서 에러가 발생했다는 것이 명시돼 있다. 이후 내용에서는 각각 ‘default massage’로 어느 부분이 잘못됐는지 더욱 쉽게 확인할 수 있다.
💡 Tip. 정규식(Regular Express)란?
특정한 규칙을 가진 문자열 집합을 표현하기 위해 쓰이는 형식이다. 전화번호, 주민등록번호, 이메일과 같이 특정 형식의 값을 검증해야 할 때가 있다. 이러한 값은 정규식을 통해 쉽게 검증할 수 있다.
정규식은 다음과 같은 요소를 사용한다.
^
: 문자열의 시작$
: 문자열의 종료.
: 임의의 한 문자*
: 앞 문자가 없거나 무한정 많음+
: 앞 문자가 하나 이상?
: 앞 문자가 업거나 하나 존재[, ]
: 문자의 집합이나 범위를 나타내며, 두 문자 사이는 ~ 기호로 범위를 표현{, }
: 횟수 또는 범위를 의미(, )
: 괄호 안의 문자를 하나의 문자로 인식|
: 패턴 안에서 OR 연산을 수행\
: 정규식에서 역슬래시는 확장문자로 취급하고, 역슬래시 다음에 특수문자가 오면 문자로 인식\b
: 단어의 경계\B
: 단어가 아닌 것에 대한 경계\A
: 입력의 시작 부분\G
: 이전 매치의 끝\Z
: 종결자가 있는 경우 입력의 끝\z
: 입력의 끝\s
: 공백 문자\S
: 공백 문자가 아닌 나머지 문자(^\s
와 동일)\w
: 알파벳이나 숫자\W
: 알파벳이나 숫자가 아닌 문자(^\w
와 동일)\d
: 숫자 [0-9]와 동일하게 취급\D
: 숫자를 제외한 모든 문자(^0-9
와 동일)정규식은 익숙하지 않은 문자의 조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사이트에서 직접 정규식을 만들어보며 연습하는 것을 권장한다.
@Validated 활용
앞의 예제에서는 유효성 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Valid
어노테이션을 선언했다. @Valid
어노테이션은 자바에서 지원하는 어노테이션이며, 스프링도 @Validated
라는 별도의 어노테이션으로 유효성 검사를 지원한다. @Valid
는 @Validated
어노테이션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Validated
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Validated
는 유효성 검사를 그룹으로 묶어 대상을 특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검증 그룹은 별다른 내용이 없는 마커 인터페이스를 생성해서 사용한다 실습을 위해 그림과 같이 data
패키지 내에 group
패키지를 생성하고 ValidationGroup1
과 ValidationGroup2
라는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1
2
3
public interface ValidationGroup1 {
}
1
2
3
public interface ValidationGroup2 {
}
검증 그룹 설정은 DTO 객체에서 한다. 아래와 같이 새로운 DTO 객체를 생성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ToString
@Builder
public class ValidatedRequestDto {
@NotBlank
private String name;
@Email
private String email;
@Pattern(regexp = "01(?:0|1|[6-9])[.-]?(\\d{3}|\\d{4})[.-]?(\\d{4})$")
private String phoneNumber;
@Min(value = 20, groups = ValidationGroup1.class)
@Max(value = 40, groups = ValidationGroup1.class)
int age;
@Size(min = 0, max = 40)
private String description;
@Positive(groups = ValidationGroup2.class)
private int count;
@AssertTrue
private boolean booleanCheck;
}
이 전 코드와 비쇼했을 때 수정된 부분은 17~18번 줄과 24번 줄이다. 17~18번 줄에서 @Min
, @Max
어노테이션이 groups
속성을 사용해 ValidationGroup1
그룹을 설정하고 24번줄에서 ValidationGroup2
를 성정했다. 이 설정을 통해 어느 그룹에 맞춰 유효성 검사를 실시할 것인지 지정한 것이다.
실제로 그룹을 어떻게 설정해서 유효성 검사를 실시할지 결정하는 것은 @Validated
어노테이션에서 한다. 유효성 검사 그룹을 설정하기 위해 컨트롤러 클래스에 아래와 같은 메서드를 추가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RestController
@RequestMapping("/validation")
public class ValidationController {
private final Logger LOGGER = LoggerFactory.getLogger(ValidationController.class);
@PostMapping("/validated")
public ResponseEntity<String> checkValidation(
@Validated @RequestBody ValidatedRequestDto validatedRequestDto){
LOGGER.info(validatedRequestDto.toString());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validatedRequestDto.toString());
}
@PostMapping("/validated/group1")
public ResponseEntity<String> checkValidation1(
@Validated(ValidationGroup1.class) @RequestBody ValidatedRequestDto validatedRequestDto) {
LOGGER.info(validatedRequestDto.toString());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validatedRequestDto.toString());
}
@PostMapping("/validated/group2")
public ResponseEntity<String> checkValidation2(
@Validated(ValidationGroup2.class) @RequestBody ValidatedRequestDto validatedRequestDto) {
LOGGER.info(validatedRequestDto.toString());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validatedRequestDto.toString());
}
@PostMapping("/validated/all-group")
public ResponseEntity<String> checkValidation3(
@Validated({ValidationGroup1.class,
ValidationGroup2.class}) @RequestBody ValidatedRequestDto validatedRequestDto) {
LOGGER.info(validatedRequestDto.toString());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validatedRequestDto.toString());
}
}
예제의 9번 줄에서는 @Validated
어노테이션에 속성을 지정하지 않고 16번 줄에서는 ValidationGroup1
, 23번 줄에서는 ValidationGroup2
를 그룹으로 지정했다. 마지막으로 30~31번 줄에서는 두 그룹을 모두 지정했다.
다시 Swagger 페이지에서 각 메서드를 호출하겠다. 먼저 7~12번 줄의 checkValidation()
메서드를 호출하겠다. 호출할 때 전달하는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9
{
"age": -1,
"booleanCheck": true,
"count": -1,
"description": "Validation 실습 데이터입니다.",
"email": "flature@wikibooks.co.kr",
"name": "Flature",
"phoneNumber": "010-1234-5678"
}
위 데이터는 age
와 count
변수에 대한 유효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하는 데이터이다. 하지만 첫 번째 메서드를 호출했을 경우 정상적으로 통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Validated
어노테이션에 특정 그룹을 지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group
속성을 설정하지 낳은 필드에 대해서만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데이터는 그래도 이용하면서 14~19번 줄의 checkValidation1()
메서드를 호출하면 다음과 같은 로그를 확인할 수 있다.
1
[Field error in object 'validatedRequestDto' on field 'age': rejected value [-1]; codes [Min.validatedRequestDto.age,Min.age,Min.int,Min]; arguments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MessageSourceResolvable: codes [validatedRequestDto.age,age]; arguments []; default message [age],20]; default message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
검사 오류가 발생할 수 있는 두 변수 중에서 ValidationGroup1
을 그룹으로 설정한 age
에 대한 에러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21~26번 줄의 checkValidation2()
메서드를 호출하면 age
에서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count
에 대한 오류만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28~35번 줄의 마지막 메서드를 호출하면 다음과 같이 검사 오류가 로그가 출력된다.
1
com.springboot.valid_exception.controller.ValidationController.checkValidation3(com.springboot.valid_exception.data.dto.ValidatedRequestDto) with 2 errors: [Field error in object 'validatedRequestDto' on field 'count': rejected value [-1]; codes [Positive.validatedRequestDto.count,Positive.count,Positive.int,Positive]; arguments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MessageSourceResolvable: codes [validatedRequestDto.count,count]; arguments []; default message [count]]; default message [0보다 커야 합니다]] [Field error in object 'validatedRequestDto' on field 'age': rejected value [-1]; codes [Min.validatedRequestDto.age,Min.age,Min.int,Min]; arguments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MessageSourceResolvable: codes [validatedRequestDto.age,age]; arguments []; default message [age],20]; default message [20 이상이어야 합니다]] ]
한 번 더 메서드를 호출하겠다. 이번에는 호출 데이터를 다음과 같이 변경한다.
1
2
3
4
5
6
7
8
9
{
"age": 30,
"booleanCheck": false,
"count": 30,
"description": "Validation 실습 데이터입니다.",
"email": "flature@wikibooks.co.kr",
"name": "Flature",
"phoneNumber": "010-1234-5678"
}
위 데이터는 age
와 count
는 검사를 통과하고 booleanCheck
변수에서 검사를 실패하는 데이터이다. 한편 checkValidation3()
메서드를 호출하면 정상적으로 응답이 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Validated
어노테이션에 특정 그룹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에는groups
가 설정되지 않은 필드에 대해 유효성 검사를 수행@Validated
어노테이션에 특정 그룹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지정된 그룹으로 설정된 필드에 대해서만 유효성 검사를 수행
이처럼 그룹을 지정해서 유효성 검사를 실시하는 경우에는 어떤 상황에 사용할지를 적절하게 설계해야 의도대로 유효성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 만략 이를 제대로 설계하지 않으면 비효율적이거나 생산적이지 못한 패턴을 의미하는 안티 패턴이 발생하게 된다.
커스텀 Validation 추가
실무에서는 유효성 검사를 실시할 때 자바 또는 스프링의 유효성 검사 어노테이션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을 써야할 때도 있다. 이 경우 ConstraintValidator
와 커스턴 어노테이션을 조합해서 별도의 유효성 검사 어노테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동일한 정규식을 계속 쓰는 @Pattern
어노테이션의 경우가 가장 흔한 사례이다.
이번에는 전화번호 형식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간단한 유효성 검사 어노테이션을 생성해 보겠다. 먼저 ConstraintValida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클래스를 생성해야 한다. 아래와 같이 TelephoneValidator
클래스를 생성한다.
1
2
3
4
5
6
7
8
9
10
public class TelephoneValidator implements ConstraintValidator<Telephone,String> {
@Override
public boolean isValid(String value, ConstraintValidatorContext constraintValidatorContext) {
if(value == null){
return false;
}
return value.matches("01(?:0|1|[6-9])[.-]?(\\d{3}|\\d{4})[.-]?(\\d{4})$");
}
}
예제에서 1번 줄에서는 TelephoneValidator
클래스를 ConstraintValidator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로 정의한다. 인터페이스를 선언할 때는 어떤 어노테이션 인터페이스인지 타입을 지정해야 한다.(어노테이션 인터페이스에 대해서는 바로 이어서 소개하겠다.) ConstraintValidator
인터페이스는 invalid()
메서드를 정의하고 있다. 이 메서드를 구현하려면 5~7번 줄처럼 직접 유효성 검사 로직을 작성해야 한다. 5~7번 줄과 같이 null
에 대한 허용 여부 로직을 추가하고, 8번 줄에서는 지정한 정규식과 비료해서 알맞은 형식을 띠고 있는지 검사하게 된다. 이 로직에서 false
가 리턴되면 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예외가 발생한다.
그럼 ConstraintValidator
인터페이스에서 정의한 Telephone
인터페이스를 살펴보겠다. Telephone
인터페이스는 아래와 같이 작성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Target(ElementType.FIELD)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Constraint(validatedBy = TelephoneValidator.class)
public @interface Telephone {
String message() default " 전화번호 형식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Class[] groups() default {};
Class[] payload() default {};
}
먼저 1번 줄에 선언돼 있는 @Target
어노테이션은 이 어노테이션을 어디서 선언할 수 있는지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예제에서는 필드에 선언할 수 있게 설정돼 있다. 그 외에 사용할 수 있는 ElementType
은 다음과 같다.
ElementType.PACKAGE
ElementType.TYPE
ElementType.CONSTRUCTOR
ElementType.FIELD
ElementType.METHOD
ElementType.ANNOTATION_TYPE
ElementType.LOCAL_VARIABLE
ElementType.PARAMETER
ElementType.TYPE_PARAMETER
ElementType.TYPE_USE
2번 줄에서 사용된 @Retention
어노테이션은 이 어노테이션이 실제로 적용되고 유지되는 범위를 의미한다. @Retention
의 적용 범위는 RetentionPolicy
를 통해 지정하며, 지정 가능한 항목은 다음과 같다.
RetentionPolicy.RUNTIME
: 컴파일 이후에도 JVM에 의해 계쏙 참조한다. 리플렉션이나 로깅에 많이 사용되는 정책이다.RetentionPolicy.CLASS
: 컴파일러가 클래스를 참조할 때까지 유지한다.RetentionPolicy.SOURCE
: 컴파일 전까지만 유지된다. 컴파일 이후에는 사라진다.
그리고 3번 줄에서는 @Constraint
어노테이션을 활요해 앞에서 소개한 TelephoneValidator
와 매핑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5~7번 줄과 같이 @Telephone
인터페이스 내부에는 message()
, groups()
, payload()
요소를 정의해야 한다.(이와 관련된 내용은 Constrainthelper
에서 살펴보겠다.) 각 항목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
message()
: 유효성 검사가 실패할 경우 반환되는 메시지를 의미 한다.groups()
: 유효성 검사를 사용하는 그룹으로 설정한다.payload()
: 사용자가 추가 정보를 위해 전달하는 값이다.
위에서는 별도의 groups()
와 payload()
요소는 정의하지 않고 기본 메시지에 대해서만 요소를 설정했다.
이렇게 어노테이션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나면 아래와 같이 인텔리제이 IDEA의 [Bean Validation] 탭에 앞에서 생성한 @Telephone
이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다.
이제 직접 생성한 새로운 유효성 검사 어노테이션을 적용해 보겠다. 아래와 같이 ValidatedRequestDto
클래스에서 phoneNumber
변수의 어노테이션을 변경한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Data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ToString
@Builder
public class ValidatedRequestDto {
@NotBlank
private String name;
@Email
private String email;
@Telephone
private String phoneNumber;
@Min(value = 20, groups = ValidationGroup1.class)
@Max(value = 40, groups = ValidationGroup1.class)
int age;
@Size(min = 0, max = 40)
private String description;
@Positive(groups = ValidationGroup2.class)
private int count;
@AssertTrue
private boolean booleanCheck;
}
@Pattern
어노테이션을 @Telephone
어노테이션으로 변경한 코드이다. 다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Swagger 페이지에서 테스트를 진행하겠다. 테스트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1
2
3
4
5
6
7
8
9
{
"age": 30,
"booleanCheck": true,
"count": 30,
"description": "Validation 실습 데이터입니다.",
"email": "flature@wikibooks.co.kr",
"name": "Flature",
"phoneNumber": "12345678"
}
이 내용으로 메서드를 호출하면 다음과 같이 유효성 검사에서 형식 오류를 감지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아랭[서는 별도의 그룹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checkValidation()
메서드를 호출했을 때 오류가 발생한다.
1
[org.springframework.web.bind.MethodArgumentNotValidException: Validation failed for argument [0] in public org.springframework.http.ResponseEntity<java.lang.String> com.springboot.valid_exception.controller.ValidationController.checkValidation(com.springboot.valid_exception.data.dto.ValidatedRequestDto): [Field error in object 'validatedRequestDto' on field 'phoneNumber': rejected value [12345678]; codes [Telephone.validatedRequestDto.phoneNumber,Telephone.phoneNumber,Telephone.java.lang.String,Telephone]; arguments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DefaultMessageSourceResolvable: codes [validatedRequestDto.phoneNumber,phoneNumber]; arguments []; default message [phoneNumber]]; default message [ 전화번호 형식이 일치하지 않습니다.]] ]
댓글남기기